what's new


사토(佐藤) 공보문화원장, 중앙일보 칼럼에 대해 반론 기고


1. 1월 6일자 중앙일보 이철호 논설실장의 칼럼에, 일본정부의 역사인식에 대해 독자들이 오해할 소지가 있는 내용들이 있어 반론을 제기하였습니다.

중앙일보 측과 반론문의 게재에 관해 조율했으나, 지면 관계상 전문을 싣기 어렵다고 하여 1월 14일자 동 신문 2면에 요약판이 게재된 바,

아래 2.에는 기고문 전문을 게재하고, 3.에는 14일자 요약판 URL을 알려 드립니다.


 2. 전문


 ● 1월 6일자 귀지(중앙일보) 이철호 논설실장의 칼럼은 일본정부의 역사 인식에 대해 독자들이 오해할 소지가 있는 기술들이 있어 유감으로 생각한다.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느끼는 것은 사실에 입각하지 않고 짐작으로 일본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이처럼 객관적 사실을 정확히 알 권리가

있는 독자들에게 오해를 안겨줄 주장들이 많이 보이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로, 차제에 독자 여러분에게 일본 정부의 입장에 대해 직접 설명드리려고 한다.


 ● 올해는 전후 70년이 되는 뜻 깊은 해다. 일본은 지난 대전에 대한 깊은 반성 위에 전후 자유롭고 민주적인 국가로서 오로지 평화국가로서의 길을 걸으며

세계 평화와 번영에 공헌해왔다. 이 점에 대해서는 아베 총리도 언급한 바 있다.

 또 아베 총리는 5일의 기자회견에서도 전후 70년인 올해 총리가 미래지향적인 담화를 발표할 의향을 보인 데 대한 기자의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했다.

 “아베 내각으로서는 무라야마 담화를 포함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계승해 가겠습니다.”

 전후 50주년인 1995년에 발표한 무라야마 담화에는, 일본은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들 특히 아시아 제국의 여러분들에게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주었습니다.’ ‘다시 한 번 통절한 반성의 뜻을 표하며 진심으로 사죄의 마음을 표명합니다.’라는 내용이 들어 있다.

 다시 아베 총리는 올해 발표할 새 담화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렇게 답했다.

 “전후 70년의 시점을 맞이해 아베 정권은 지난 대전에 대한 반성과 전후 평화국가로서의 행보, 그리고 앞으로 일본이 아시아태평양지역과 세계를 위해 어떻게

더 공헌해 나갈 것인지, 세계에 발신할 수 있는 것을 지혜를 모아 생각하고 새로운 담화에 담을 생각입니다.”

그런데도 일본이 ‘과거사를 부정하고’ ‘역사 수정주의’를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까.


 ● 헌법 개정 논의에 대해서는 민주주의 국가인 이상 다양한 논의가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총리 스스로가 기자회견에서 일본국 헌법의 전쟁 포기와 평화주의

는 바꾸지 않겠다고 거듭 말하고 있다.


 ● 칼럼에는 아베 정권이 ‘반미’라는 기술도 있지만, 사실은 그와 정반대다. 출범 이래 아베 정권은 일미동맹을 일본 외교의 기축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실제로

그간 여러모로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어 양국 관계는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일미동맹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란 차원에서 한국에게도 이익이 될 것이다.


 ● 이런 사실들을 바탕으로, 일본이란 나라가 과거를 반성하고 전후 평화국가로서의 정도(正道)를 앞으로도 계속 걸어가리라는 것을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여긴다. 우리도 한국 국민의 정서를 모르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선은 객관적인 자세로 일본의 입장이나 노력을 바로 보아 주셨으면 한다. 일본 정부도 이를

위한 협력을 아끼지 않을 작정이다.


 ● 국교정상화 50주년인 올해의 막이 열렸다. 일한 양국에게 2015년이 비약의 해가 되도록 상호 이해를 위해 노력해가야 하지 않겠는가.


3. 1월 14일자 기사 중앙일보

 HP : http://joongang.joins.com/article/177/16927177.html?ctg

 

 

 

 

 


Legal Matters | About Accessibility | Privacy Policy
Copyright(C):Embassy of Japan in Korea TEL 02-2170-5200 / FAX 02-734-4528  [Contact Us]